남들은모르는 병, 통증
문동언 통증의학과와 상담하세요

커뮤니티


상담문의

02)535.7500

언론보도

HOME  >  커뮤니티  >  언론보도

[서울신문 2012.9.17] 환자 52%가 요하지통 호소

작성자 문동언통증의학과
작성일 14-07-08 01:24 | 조회 3,101 | 댓글 0

본문

직장인 강병근(31)씨는 허리에서 장딴지까지 심한 통증이 이어져 2004년에 추간판절제술을 받았다. 증상이 호전되더니 2년여가 지나면서 허리에 다시 통증이 나타났다. 결국 다시 병원을 찾아 약을 처방받고 물리치료도 받았지만 ‘뿌리가 쏙 빠지는’ 느낌이 들지 않았다. 그러는 사이 10∼20분만 서있어도 다리 끝까지 뻗치는 통증 때문에 주저앉는 일이 반복됐다. 잠을 자다가 통증 때문에 깨기도 했다. 결국 그는 올해 초에 한 병원의 마취통증의학과를 찾았고, 의사의 권유로 신경성형술을 받았다. 약물치료와 재활도 꾸준히 했다. ‘좀 나아지면 다행’이라고 여겼는데 의외로 통증이 잘 진정됐다. 강씨는 “지금은 등산으로 근력을 키울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.”고 말했다.

국내 통증환자 대부분이 강씨와 같은 요하지통(허리와 다리 부위의 통증)을 가지고 있다. 대한통증학회가 통증환자 2만 5422명의 임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, 환자 중 52%가 요하지통을 호소했다. 특히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점수화한 결과, 40대 이하 젊은 환자군의 경우 ‘극심한 통증’인 지수 7 이상의 중증통증 비율이 50대 이상 환자에 비해 53%나 높았다.

허리통증 환자들 중 상당수는 척추수술 후에도 통증을 호소했다. 한 조사 결과, 척추수술 환자 53%가 ‘통증 때문에 수술을 받았다’고 밝혔지만 이들 중 85%는 ‘수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·재발했다’고 답하기도 했다. 수술 후에도 통증이 효과적으로 근절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. 문동언 교수는 “일반적으로 척추수술은 허리통증 환자 중에서도 팔다리 마비증세가 있거나 성기능 및 배뇨장애 또는 2∼3개월의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될 때 권장된다.”며 “통증이 수술의 기준이 아니며, 허리통증의 90% 정도는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히 해소할 수 있다.”고 말했다.

심재억 전문기자 jeshim@seoul.co.kr 

 

 

http://www.seoul.co.kr/news/newsView.php?id=20120917024001

 

댓글목록 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닫기

개인정보취급방침

1.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


[비용문의 및 상담문의시 개인정보 수집항목]

필수항목 : 성명, 연락처(휴대폰번호), 상담 및 문의 정보
선택항목 : 이메일
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서비스 제공 업무 처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. : 서비스 이용기록, 접속 로그, 쿠키, 접속 IP 정보


2.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

문동언통증의학과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.
이용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는 하기 목적에 필요한 용도 이외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될 시에는 사전 동의를 구할 것입니다.


[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]
- 고객이 문의한 사항에 대한 컨텐츠 제공, 특정 맞춤 서비스 제공, 물품배송 또는 청구서 등 발송

[신규 서비스 개발 및 마케팅에의 활용]
신규 서비스 개발 및 맞춤 서비스 제공, 신규 서비스 홍보자료 제공, 접속빈도 파악, 회원 서비스이용에 대한 통계 등


3.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

문동언통증의학과는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달성된 때에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. 단,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.

- 서비스가 종료되었을 때: 다만,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도 상법 등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.
-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: 3년 (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)
- 신용정보의 수집/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: 3년 (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)
- 본인 확인에 관한 기록 : 6개월 (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)
- 방문에 관한 기록 : 3개월 (통신비밀보호법)